국립춘천박물관(관장 김상태)이 강원지역 철불 조사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조사연구대상은 강원지역에서 발견된 완형 철불 5점과 철불편 2개체이다.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정밀 기록, 미세형상 분석, X-선 촬영, 주조기법 조사, 거푸집의 재료분석 등 다양한 과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철불의 내·외부를 정밀하게 조사해 기록하였다. 이 자료를 종합적으로 엮어 강원지역 철불의 제작기술과 특징을 밝혀냈다.

5점의 철불 중 석가모니불 3점은 외형틀 분할 주조 방법으로, 약사불(보물1873호)과 아미타불은 밀랍주조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그 중 외형틀 분할주조로 제작된 석가모니불 3점은 내부구조와 제작방법이 모두 같아, 동일인 또는 동일한 공인집단에 의해 제작된 작품으로 해석된다. 다만 거푸집에 사용된 토양의 분석 결과 거푸집 제작방법은 동일하지만 원료산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D 정밀스캔으로 통해 얻어진 3차원 수치데이터을 활용하여 서로 닮은꼴로만 알려져 왔던 불상들(본관1972, 본관1976)의 얼굴 유사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11개 기준점과 5개 치수항목 기준을 설정하고 3차원 편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불상의 얼굴은 백호부분과 얼굴 양 옆면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위치와 치수가 유사하며 전반적으로 2mm 내외의 편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얼굴 각 부분의 선명도에서는 차이가 확인되어, 두 불상이 동일한 얼굴 모델을 사용하였거나 한 불상이 다른 불상의 모델이 되었을 가능성 두 가지를 고려하게 되었다.

약사불의 내부에서는 불상의 제작 당시에 거푸집 안틀의 재료로 사용된 기와편이 다수 남아있다.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다양한 문양의 기와가 확인됐으며, 이는 불상의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이번 보고서에는 기와 자료를 포함하여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추정되는 불상 내부의 묵서자료 등을 상세히 수록하였다.

국립춘천박물관 관계자는 “연구자료가 부족한 철불들의 제작시기를 연구하기 위하여 부식물을 활용한 방사선탄소연대측정을 시도하였다”며, “향후 관련 자료의 축적과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립춘천박물관은 기획전시실에서 11월 1일까지 여는 〈불심 깃든 쇳물, 강원 철불〉 전에서 이번 조사연구에서 확인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불교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